" async="async"> ', { cookie_domain: 'auto', cookie_flags: 'max-age=0;domain=.tistory.com', cookie_expires: 7 * 24 * 60 * 60 // 7 days, in seconds }); 재무제표 보는 방법 1탄 : dart 전자공시시스템, 네이버 파이낸셜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재무제표 보는 방법 1탄 : dart 전자공시시스템, 네이버 파이낸셜

by WJ경제 2023. 11. 2.

목차

     

    재무제표 보는 법, 재무제표 의미

     

     

     

    재무제표 보는 법

     

     

    재무제표란, 재무제표 의미

     

    재무제표란 기업의 금융 상태를 이해하고 미래를 예측하는데 중요한 정보를 제공하는 도구입니다.

     

    한마디로 숫자로 기업의 여러가지 재무에 관련된 상태를 요약해놓은 것인데요?

     

    현재 우리나라에 있는 기업들은 일정하게 정해진 기간마다 재무 보고를 하고 있습니다. 회계 기준에 따라서 재무보고를 할 때 쓰이는 보고서가 '재무제표'입니다.

     

    일반적으로 매 해 모든 상장사는 사업보고서 그리고 반기보고서를 각 1회, 분기 보고서를 2회 제출해야 합니다. 모두 금감원에서 운영하는 DART 사이트에서 조회가 가능합니다. 

     

    기본적인 재무제표 뿐 아니라 공시 관련된 사항도 DART에 올라오니 투자를 하시는 분들은 기본적으로 자주 들여다 보시고 친숙하게 이용하시는 게 도움이 많이 됩니다.

     

     


     

     

    재무제표 종류

     

    재무제표에는 크게 5가지 종류가 있습니다.

     

    1. 재무상태표 : 기업이 보유하고 있는 자산, 부채, 자본에 대한 정보를 표로 제공

     

    2. 손익계산서 : 일정 기간 동안 기업의 경영 성과를 제공하는 계산서, 매출이나 매입액에 대한 정보 등을 제공함.

     

    3. 현금흐름표 : 일정 기간 동안 기업에 들어오고 나간 현금 흐름을 보여줌. 현금 유입, 유출 현황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음.

     

    4. 자본변동 : 기업의 자본이 어떻게 변했는지 내역을 보여줌.

     

    5. 주석 : 재무제표와 관련된 추가적인 사항 또는 아주 세부적인 사항을 알려주는 역할을 함.

     

     

    일반적으로 1-3번을 많이 보곤 합니다.

     

    연결재무제표와 관련된 개념이 있는데요, 이 부분은 다음 글에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재무제표 보는 방법 : 검색 사이트

     

     

    재무제표를 가장 정확히 확인할 수 있는 사이트는 바로 '금융감독원 전자공시시스템'입니다.

     

    재무제표 보는 방법은 정말 다양하지만 일명 'dart' 라고 불리는 이곳에서 가장 쉽게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다트 바로 가기'

     

    전자공시시스템

    많이 본 문서 최근 3영업일 기준 가장 많이 본 공시를 보여줍니다.

    dart.fss.or.kr

     

     

     

    네이버 증권에서 볼 수도 있지만 dart 에서 보는 것이 가장 정확하고 깔끔합니다. 네이버 증권은 잘 정리된 시각적인 자료를 확인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

     

    아래는 네이버 증권 링크입니다.

     

     

    네이버 증권 바로가기

     

     


     

     

    예시로 삼성전자의 정기보고서를 살펴보도록 하겠습니다.

     

     

    1. dart 전자공시시스템 사이트에 들어갑니다.

     

    재무제표 보는 방법, 삼성전자 재무제표

     

     

     


     

    2. 검색창에 삼성전자를 검색합니다.

     

     

     

     

     

     

     

    정기보고서만 확인하려면 위 사진처럼 정기보고서 체크박스를 체크합니다. 그러면 반기 보고서, 분기 보고서만 나오게 됩니다.

     

     

     

     

     


     

     

    3. 원하는 기간의 보고서를 클릭해서 열어줍니다.

     

     

     

     

    '재무에 관한 사항'에서 재무제표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

     

     

    해당 재무제표를 토대로 앞서 설명한 PER, PBR, BPS, EPS 등의 지표들을 산출할 수 있습니다.

     

     

     

     

     


    아래 글을 먼저 읽고 오시면 도움이 되실 수 있습니다.

     

    <기초 용어 설명>

     

    1. EPS란 무엇일까?

    2. PBR이란?

    3. PER이란? PER이 낮으면?

     

     


    재무제표 보는 법 : 결론

     

     

    재무제표를 분석하는 것은 '투자'의 기초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표별로 수익성, 안정성, 성장성의 각각 다른 관점에서 분석해보고 기업의 현재상태는 어떠한지 나아가 미래 상태는 어떨 것인지 나름대로 논리적으로 접근해 볼 수 있습니다.

     

     

    다만 재무제표만을 보고 투자하는 것은 기업의 전반적인 모든 상황을 이해하지 못하고 수치로만 판단하여 투자하는 것일 수 있으므로 투자를 하기 전에는 항상 대내외적인 이슈, 재무제표, 기업 대표, 산업 현황 등 다양한 관점에서 분석해보고 판단하여 잃지 않는 투자를 하는 것이 좋습니다.

     

     

    이상 재무제표 보는 법이었습니다. 이후에는 구체적인 지표에 대해서 설명하도록 하겠습니다. 항상 투자에 도움되시길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