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async="async"> ', { cookie_domain: 'auto', cookie_flags: 'max-age=0;domain=.tistory.com', cookie_expires: 7 * 24 * 60 * 60 // 7 days, in seconds }); 저평가 주식 찾기 : EPS란 무엇일까? 뜻, 의미, 계산
본문 바로가기
카테고리 없음

저평가 주식 찾기 : EPS란 무엇일까? 뜻, 의미, 계산

by WJ경제 2023. 10. 12.

목차

     

    EPS란 무엇일까요?

     

    주식 투자 하기 위해서는 참 공부해야 할 용어들이 복잡합니다.

     

    오늘은 지난 두 번 PER, PBR에 이은 핵심적인 지표인 EPS에 대해서 알아보겠습니다.

     

     

     


     

    EPS 뜻

     

    EPS는 '주당순이익'입니다.

     

    다른 말로 EPS는 '당기순이익을 주식 수로 나눈 값'입니다.

     

    EPS란 EPS 뜻 의미

     

     

    • 여기서 '당기순이익'이란 (기업이 일정 기간 동안 얻은 모든 수익)에서 (지출한 모든 비용)을 빼고 (순수하게 이익으로 남은 몫)을 말합니다.
    • '발행주식수'란 (실제로 회사가 발행한 주식의 수)입니다.

     

    결국 EPS는 회사가 얼마만큼의 돈을 벌어들이는지를 알 수 있는 지표입니다. 여기에는 '당기순이익'이 큰 영향을 미칩니다. 

     

    EPS의 의미를 알고 계산하는 것은 향후 PER과 같은 투자 기초 지표를 공부하는데 더 큰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EPS 계산하기

     

    그러면 이제 EPS를 계산해 볼 수 있습니다.

     

    어느 특정 기업 B가 지난 2022년 1년동안 5000만원을 벌었습니다.

     

    이 때 B 기업발행주식수5000주이면 EPS는 얼마일까요?

     

     

    EPS란 EPS계산

     

     

    특정 기간 2022년이 주어졌고(당기), 그 때의 순이익이 5000만원이었습니다.

     

    분자 당기순이익은 '5000만원'입니다.

     

    분모 발행주식수는 '5000주'이므로 5000만원 나누기 5000주를 하면 EPS는 1만원으로 계산됩니다.

     

     


    실제 EPS 살펴보기

     

    삼성전자 EPS 계산하기

    삼성전자를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기업을 보실 때 재무제표와 기업 보고서를 보실 수 있는 가장 기본적인 사이트가 있습니다.

     

    '다트전자공시' 사이트입니다. 

     

    저는 여기서 한 번 확인해보았습니다.

     


    먼저, 삼성전자는 보통주와 우선주가 있습니다.

     

    우선주가 없는 종목들도 있습니다. 다만 삼성전자는 우선주가 있기에

     

    분모에 들어가는 발행주식수를

     

    보통주와 우선주를 더해서 계산해보겠습니다.

     

    삼성전자 발행주식수 계산 =  삼성전자 보통주 + 삼성전자 우선주

     

     

     

     


    아래는 2022년 삼성전자의 발행주식수, 당기순이익, EPS 계산입니다.

     

     

     

    2022년 삼성전자의 당기순이익(지배)547조 3000억입니다.

     

    어마어마한 숫자이죠.

     

    발행주식수보통주 5,969,782,550우선주 822,886,700을 더해서 총 6,792,669,250입니다.

     

    자 이제 분모와 분자를 모두 알았습니다. 두 숫자를 계산식에 따라서 나눠주면 됩니다.

     

     

     

     

    분자에는 당기순이익분모에는 발행주식수를 넣어주니

     

    2022년 EPS8057.22원으로 나왔습니다. 

     

    그러면 실제 EPS 수치와 일치하는지 한 번 볼까요?

     

     

    2022년 삼성전자 EPS

     

    실제 네이버페이 증권상의 EPS 수치와 일치하는 것을 볼 수 있습니다.

     

     


    사실은 여기에서 더 나아가 PER 계산을 해 볼 수가 있습니다.

     

    PER주가/EPS입니다.

     

    "PER = 주가/EPS"

     

    현 삼성전자 주가는 대략 68,000원이라고 한다면

     

    68,000/8,057 = 8.44가 나오게 됩니다.

     

    현재 PER은 8.44배입니다. 그렇지만 정확하지 못한 계산입니다.

     

    2022년 EPS를 사용했지만 반대로 주가는 현재 주가를 넣어주었으니

     

    오차가 있는 PER 수치입니다.

     

    현재 수치를 반영하지 못했습니다.

     


     

    2023년 현재를 기준으로 최근 4분기 삼성전자의 EPS는 더 하락했습니다.

     

    그렇다면 반대로 PER은 높아졌을 겁니다.

     

    PER = 주가 / EPS이기 때문입니다.

     

    현 주가는 크게 오르지 않았는데

     

    분모인 EPS가 하락했기 때문에 반대로 PER이 높아졌을 겁니다.

     

     

     

     

    실제 현재 PER13.09배로 높아졌습니다.

     

    위 사진은 EPS 자체를 최근 4분기로 산정하였고

     

    저는 EPS를 2022년 4분기로 적용했으니 차이가 발생하는 겁니다.

     


    EPS 공부를 마치며

     

    오늘은 EPS란 무엇이고 계산은 어떻게 하는지 알았보았습니다. EPS에 대한 공부는 나아가 PER 계산 및 타 지표를 보는데 도움이 됩니다. 또 앞으로 투자를 하는데 여러 가지를 판단하는데 도움이 되실 겁니다.

     

     

    그러나 역시 EPS도 단순히 낮고 높음으로만 판단해서 투자 결정을 할 수 없습니다. 완벽한 지표는 없고 항상 지표는 설명해주지 못하는 허점이 있기 마련입니다. 실제로 하나의 수치 뿐 아니라 주가에 영향을 미치는 요소는 셀 수 없이 많습니다. 

     

     

    우리는 그 중 무엇이 좀 더 영향을 많이 미치고, 중요한 지표인지 가려내어서 투자 판단을 신중히 해야 할 필요가 있습니다.